sicknsInfList
1. 학명 : Phytonemus pallidus
2. 피해와 진단
◦ 2011년 강원도 삼척시 여름딸기 재배농가에서 처음 발생 확인되었으며, 네덜란드에서 도입한 모종에서 발생하여 네덜란드에서 침입한 것으로 추정됨
◦ 어린 잎이나 어린 과일에 많이 발생함
◦ 피해 받은 꽃받침은 끝이 엽록소가 없어지고 옅은 색으로 되며, 점차 피해가 커지면 그 부위가 잎 전체로 확산되고 피해 잎은 거의 자라지 못하며 쭈그러지는 기형이 됨
◦ 어린 과일에 발생하면 암술이 지저분해지고 변색이 되며 꽃받침은 엽록소가 없어져 옅은 색으로 되며, 잎에는 많지 않고 거의 과일 속에 서식함
3. 형 태
◦ 암컷의 길이 0.25mm, 폭 0.14mm로 육안으로는 전혀 보이지 않고 해부현미경에서 20배 이상에서 관찰할 수 있음
◦ 알은 성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 거의 성충의 1/2정도로 길이가 0.1mm임
4. 생 태
◦ 국내 미기록 해충으로 기초 자료가 없음
5. 방제방법
◦ 응애가 발생하면 방제가 아주 어렵기 때문에 초기 방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피해 초기에는 점박이응애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 지점만 약제를 살포하고 심해지면 피해주를 조기에 뽑아냄(꿀벌에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