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정식 전 지속적 붕산 시비로 성엽 변색(11월)
사질토양 붕소함량 높은 비료 시비(12월)
붕소 과잉 잎 테두리 갈변(3월)
육묘기 지속적인 붕산처리(8월)
수경재배 붕소과잉 영양제 엽면살포 후 증상
붕소과잉 증상 포장 꽃받침 마름 증상
1. 피해증상
◦ 붕소는 체내에서의 이동이 잘 안되며, 잎의 가장자리에 많이 분포함
◦ 동절기(10월 중순 이후) 성엽이 검게 변하며, 새로 나오는 잎이 정상이더라도 성엽이 되면서 다시 증상이 나타나고 검게 된 잎이 앞면으로 말리는 증상을 보이기도 함
◦ 증상이 진전되면 잎의 가장자리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마르며, 잎과 꽃대가 단단해지고 꽃대 출현이 늦어져 후반기 생육이 불가능해짐
2. 원 인
◦ 과실 색 향상을 위하여 관비 사용 시 4종복비, 영양제 등의 과용
◦ 딸기 정식 전 붕소를 많이 주거나 붕소 함량이 높은 비료를 고농도로 자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함
3. 대책 및 예방
◦ 연작지 포장은 다른 작물로 윤작하거나 담수하고, 잦은 관수로 붕소의 함량을 낮춰야 하며, 붕소가 포함된 비료나 영양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함
◦ 질산칼리, 질산칼슘 등을 관비하여 딸기의 생장력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