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Monilinia fructicola, M. laxa
◦ 자낭균에 속하며, 균핵이 발아하여 자낭반이 형성되고 자낭반에서 자낭포자가 형성되며, 자낭은 무색, 곤봉형, 크기 130~210×7.5~12㎛, 자낭포자는 무색 내지 담색, 단세포, 계란모양 내지 장타원형, 크기 9.5~18×6~8㎛,
◦ 분생포자는 병든 부위에서 형성되며, 단세포, 타원형, 크기 10~20×6~12㎛임
2. 병징과 진단
◦ 주로 과실에 발생하나 가지, 꽃, 잎에도 발생함
◦ 과실에는 처음 수침상의 갈색 원형병반이 나타나고 급속하게 진전되어 과실 전체가 부패하며, 병반상에는 회갈색의 포자덩어리가 밀생하고 어린 과실에 발병되면 미이라상태로 변하여 가지에 붙어 있는 수가 많음
◦ 가지는 주로 과실이 달린 꼭지부분의 줄기에서부터 발병되어 심하면 줄기 전체가 고사하는데 작은 가지에 많이 발생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분생포자와 자낭포자 및 균사의 형태로 병든 부위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되고 비바람이나 곤충에 의하여 전반, 열매의 피목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함
◦ 다습하면 과실에 발명이 많고 피해가 큼
4. 방제방법
◦ 꽃으로의 감염 예방은 개화 직전과 만개기에 실시하고 과실에 대한 방제는 발병 초기부터 수확 1개월 전까지 적용약제를 살포함
◦ 지난해 발생이 많았던 과수원에서는 꽃썩음병 방제를 철저히 하고 병원균 전파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피해 가지, 피해 과실 등은 신속히 제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