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hytophthora cactorum, P. drechsleri
2. 병징과 진단
◦ 감염 초기에는 생육이 불량하고 누렇게 되지만 병이 진전되면 뿌리가 썩고 잎은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곧 죽음
◦ 심한 경우 뿌리뿐만 아니라 땅가 부위 줄기와 잎 아랫부분이 갈색으로 썩는데, 무름병과 달리 심한 악취를 풍기지 않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주로 수경재배 상추에서 발생되며, 토경 재배에서는 비가 자주오고 물빠짐이 좋지 않은 포장에서 발생되나 심하지 않음
◦ 병원균은 주로 토양과 관수로 유입되며,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균사 조각이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다시 발아하여 1차전염원이 됨
◦ 수경 재배 시 재배시스템으로 일단 유입되면 증식과 전파가 용이하여 급격히 전 포장으로 퍼져 큰 피해를 줌
◦ 주로 육묘 상토로부터 양액 베드로 유입되며 연중 발생되지만 주로 6월 이후 여름철에 대 발생하고 양액온도가 20℃ 이상 고온일 때 식물체는 연약하게 자라고 병원균의 활동은 왕성해져 발병이 용이해짐
4. 방제방법
◦ 건전한 상토에서 육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육묘 시 상토가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물을 줄 때 토양입자가 튀어 오르지 않도록 주의함
◦ 등록된 약제가 없으며, 다륵 작물에 등록된 역병 약제는 상추에 잔류가 심하므로 활용이 곤란하고 육묘 토양이나 농기구 소독용으로만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