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순멎이
채소 > 수박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순멎이

영문명 :

식물명 : 채소

 

1. 피해증상

파종상이나 육묘상에서 생장점이 퇴화되거나 생장점 부근의 잎이 노랗게 변해 생육이 멈추어 기형이 되거나 왜화상태가 되어 더 이상 자라지 않음

정식 직후 원줄기가 생장방향이 없고 생장점 부위가 두껍게 되면서 생장이 정지되고 측지가 생장하게 됨

 

2. 원 인

석회부족으로 잎의 끝이 황화되면서 말라 죽어 순멎이가 발생되거나 알칼리성 토양, 접목 후의 저온, 어린 접순의 접목, 생장점의 고온피해, 육묘상의 약해 등에 의해서 발생함

파종상에서는 발아 후 주, 야간의 온도교차가 심하거나 지온은 높은데 지상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3~4월에 발생되기 쉬움

시설재배에서는 갑작스런 저온에 의하여 발생됨

 

3. 대책 및 예방

산성토양을 개량하여 석회결핍 증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접목 시에는 완전히 떡잎이 전대된 접순을 이용하며, 접목 후에는 보온을 잘 해줌

육묘상의 습도를 낮추어 생장점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주의하고 시설재배 시 오후 늦게 물주기를 하거나 고랑에 물을 대주는 것은 저온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금하는 것이 좋음

주야간 온도관리(13~35)와 환기에 주의하고 온도장해가 심한 정식 10일 이내의 묘는 적심을 하거나 보식을 실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