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마그네슘은 엽록소를 구성하는 요소로 결핍되면 식물체의 잎이 황변하고 광합성 작용이 나빠짐
◦ 생육 초기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과실 비대기에 착과마디 부근의 잎에서부터 주로 발생해 점차 부근의 잎으로 확대되며, 탄저병과 비슷함
◦ 초기에 잎줄기 사이에 흑갈색의 깨와 같은 작은 반점이 나타났다가 서서히 확대되어 잎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가면서 잎 전체가 말라 죽음
◦ 호박에 접목한 경우보다 실생재배나 참박 대목에 접목하여 재배할 때 많이 발생하는데, 뿌리의 마그네슘 흡수량이 호박에 비해 실생재배나 참박 대목에 접목한 경우가 적기 때문임
2. 원 인
◦ 착과수가 많을 때 토양이 건조할 때 피해가 심함
◦ 과실이 급속하게 비대하게 되면 과실로 다량의 마그네슘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뿌리에서 흡수량이 적으면 과실 부근의 잎에서 과실로 마그네슘이 이동
◦ 토양 내의 칼리와 칼슘의 함량이 과다할 경우 이들과 길항작용으로 마그네슘의 흡수가 나빠져 결핍증이 나타남
3. 대책 및 예방
◦ 증상이 나타난 뒤에는 잎에 비료를 주어도 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착과 전에 미리 살포하여 잎의 마그네슘 함량을 높여 둘 필요가 있으며, 잎 뒷면에 살포하는 것이 표면에 살포하는 것보다 흡수가 빠름
◦ 결핍증이 나타났을 경우 가급적 빨리 황산마그네슘 0.5~2% 액을 4~5일 간격으로 2~3회 엽면살포함
◦ 칼리와 석회의 과다시용을 피하여 토양 내 염기의 균형을 이루고 퇴비를 충분히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하여 뿌리의 분포를 확대시켜 줌
◦ 강적심과 강정지를 피하여 과일 한 개당 충분한 잎 면적을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