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고온 및 저온장해
채소 > 수박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고온 및 저온장해

영문명 : High and low temperature disturbance

식물명 : 수박

1. 피해증상

정식직후 주로 어린잎에서 발생되는데, 잎이 노랗게 타거나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기도 하며, 잎자루가 짧아지고 잎이 위로 말리는 동시에 꽃가루도 잘 터지지 않아 수정에 지장을 줌

노지재배 시 소형터널을 제거한 후에는 잎의 뒷면에 백화현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냉해를 받은 후 강한 햇빛과 바람이 있을 때 발생됨

 

2. 원 인

리나라 수박 재배는 3~4월에 정식하여 6~7월에 집중적으로 출하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봄철에는 일기불순으로 인하여 하우스 내 저온 및 고온 장해가 많이 발생됨

하우스 내 수박을 정식한 직후에는 소형터널을 설치하여 활착에 유리하도록 온도 및 습도를 적정관리하고 있는데, 4월의 주간온도가 높고 일교차가 15이상 심하여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스트레스로 작용됨

기온이 올라가면서 낮에는 시설 내 온도가 높아 환기가 늦었을 때는 잎이 고온장해를 받아 축 쳐지다가 잎맥사이가 말라죽기도 하며, 양쪽 측창을 모두 열었을 때는 시설 내부가 지나치게 건조하여 잎의 증산작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생육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함

 

3. 대책 및 예방

4월 정식 시 온도가 높을 때는 유공터널을 사용하며, 하우스 내부 온도가 낮 동안에는 25~30로 관리하고 밤에는 너무 춥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습도 관리를 철저히 함

수정기에 이르러 잎말림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고랑에 약하게 관수를 하고 측창은 가급적 바람이 불지 않는 쪽으로 한쪽만 열어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착과기를 앞두고 있는 수박들은 수정하기 1주일 전쯤에 약 15분 정도 점적관수하여 적정 토양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꽃가루 발생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잎말림 증상도 경감시킬 수 있음

장해가 발생된 수박은 생리장해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하여 요소나 유안, 황산고토 0.3%액을 엽면시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