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기형과
채소 > 수박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기형과

영문명 : malformed fruit

식물명 : 채소

1. 피해증상

과실 성장기부터 과실의 형태가 품종 고유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고 납작한 편평과, 비대의 불균형으로 인한 편형과, 꼭지 부분이 비대되지 않은 조롱박과, 형태가 일그러진 부정형과 등의 변형과가 발생함

 

2. 원 인

편평과 : 과실의 길이 자람이 왕성한 시기인 발육 초기에 저온, 건조, 일조부족, 낮음 마디 착과로 인한 잎 수 부족, 지나친 영양생장 등으로 인해 초기 생육이 불량한 경우 발생이 많음

편형과 : 정상적으로 꽃가루받이가 되어도 꽃눈의 발육 시에 저온, 건조, 비료의 과다시비, 석회 부족, 칼리 과잉 등으로 석회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꽃눈의 발육 장해로 발생되는 경우와 꽃가루받이 불완전으로 수박 착과기에 온도가 낮으면 이로 인해 씨앗이 한쪽으로 몰려 발생하며, 또한 과실을 바로 세우지 않고 눕혀두면 과실 온도의 부분차로 인해서 흙이나 토양을 덮은 비닐에 밀착된 부분이 누렇게 되면서 발육이 떨어져 발생되기도 함

조롱박과 : 꽃눈 분화기의 석회부족 및 꽃가루받이 불완전으로 인해서 발생하며, 특히 저온기에 낮은 마디에서 착과된 과실과 착과수가 많아 양분의 경합이 심한 경우에 많이 발생됨

 

3. 대책 및 예방

석회 흡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퇴구비의 시용을 늘리고 토양을 깊이 갈이를 하여 뿌리발달이 잘 되도록 하고 적절한 수분관리를 함

착과기에 저온이 되지 않도록 온도관리를 잘하여 완전하게 꽃가루받이가 되도록 하고 착과 후에도 비대가 순조롭게 되도록 환경관리를 적절하게 하, 인공수정을 할 때는 씨앗이 한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암꽃머리에 꽃가루를 골고루 묻도록 함

포기당 결실수와 착과마디를 조절하여 양분의 경합을 방지하고 초세를 적당히 유지하여 웃자람상태가 되지 않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