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열매가 갈라지는 현상으로 어린 과실에서부터 수확 직전의 커다란 과실에 이르기까지 계속 발생되는데, 착색될 무렵에 가장 심하게 발생됨
◦ 과실의 배꼽부분부터 갈라지며 심하면 과실 중간부분에서도 열과가 됨
2. 원 인
◦ 열과는 내부 압력을 과실의 껍질이 견디지 못하여 발생하는데, 착과 후 저온으로 발육이 일시 정지된 후 고온으로 급속히 비대할 경우 발생함
◦ 착과수가 적고 초세가 강한 경우에 발생하기 쉽고 가뭄이 계속된 후 비가 오거나 많은 양의 물을 갑자기 주어 급속히 생장할 때 발생함
◦ 최근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해 생장호르몬제를 이용하여 착과를 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호르몬제의 농도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3. 대책 및 예방
◦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토양을 피복하여 재배하면 토양수분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어 매우 좋음
◦ 퇴비를 충분히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하여 뿌리를 왕성하게 발달시켜 수분이 순조롭게 흡수되도록 하며, 급격한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 저온재배 시 야간저온으로 인한 어린 과실에 열과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함
◦ 생장호르몬제를 이용하여 착과시킬 경우 고온 시에는 저농도로, 저온 시에는 약간 고농도로 희석하는 등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