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발생초기 종자부에 물기가 어리고 흐릿해지고 적자색을 나타내며 점차 농자색 또는 농홍색으로 변하여 자극적인 냄새를 발산하고 과육이 적자색 또는 암적자색의 반투명으로 됨
◦ 성숙한 과실의 과피가 탄력성이 떨어지고 광택이 없으며, 두들겨 보면 땅땅 소리가 나며, 당도가 떨어지고 상품가치가 전혀 없음
2. 원 인
◦ 비료가 많은 조건에서 토양수분이 많아서 통기성이 나쁠 때 경토가 얕은 밭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뭄이 계속되다가 갑자기 비가 온 뒤 수확한 과실에서 많이 볼 수 있음
◦ 지나친 고온과 직사광선으로 과실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호흡장애로 발생함
◦ 하우스보다 노지재배 시 많이 발생하는데, 노지에서는 수분이 많거나 건조하여 초세가 약할 때 특히 논과 같은 저습지에서는 뿌리가 얕게 분포하고 토양수분이 급변하므로 발생이 많음
◦ 초세가 약한 포기에 많이 착과시키면 생육 후기에 발생이 현저히 늘어남
◦ 수확 후 수송 도중에 멜론, 토마토, 바나나와 같이 넣었을 경우 멜론 등에서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에 의해 수박이 이상호흡을 하게 되어 발생되기도 함
◦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가 발생한 경우에도 많이 나타남
3. 대책 및 예방
◦ 여름철 고온재배 시 과실이 강한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신문지나 짚 또는 수박 잎 등으로 가려주거나 잎면적을 확보하여 잎의 동화능력을 높여 주고 적정량의 물주기와 비료주기를 함
◦ 지나친 가지고르기 작업을 피해 초세의 약화를 막아주고, CGMMV나 덩굴마름병에 걸리지 않도록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며, 과실 비대 성숙기에 토양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도록 관리함
◦ 적기수확이 필요한데, 소과종은 적산온도 800℃, 대과종 1,000℃ 기준으로 수확하며, 평년보다 고온일 경우 다른 해보다 일찍 수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