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식물체 내에서 꽃눈(화아)이 발생하여 생육 중에 꽃대가 올라오는 현상으로 발생양상은 구가 비대하기 이전과 구의 비대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발생하는 추대로 나누어지는데 전자의 경우 구의 비대를 기대할 수 없음
2. 원 인
◦ 양파는 녹식물 춘화형 작물로서 어느 정도 엽수와 크기를 확보하고 10℃ 전후 또는 그 이하의 일정 기간 저온을 받게 되면 2월 하순~3월 상순경에 꽃눈이 분화되고 그 후 고온장일 조건에서 추대가 발생함
◦ 우리나라 양파의 대부분은 가을에 정식하여 겨울 월동 기간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저온 감응에 의해서 꽃눈 분화가 이루어지고 기온이 21℃ 이상에서는 감응하지 않음
◦ 저온 자극은 생장점 부근의 영양 조건에 따라 감응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특히 파종이 빨라 육묘 기간이 길어지고 큰 묘가 되거나 본포 정식 시기를 앞당겨 월동 전 생육이 과다하게 진행될 때, 겨울철 따뜻한 기온이 계속 돼 초기 생육이 왕성하게 진행될 때 추대 발생이 많아짐
3. 대책 및 예방
◦ 지역별로 정해진 파종 및 정식적기보다 일찍 하지 않도록 하고 장기 육묘가 되지 않도록 함
◦ 엽수가 많은 묘 또는 줄기 굵기가 9mm 이상 되는 큰 묘를 심지 않도록 하며, 비효가 끊기지 않도록 시비관리 함
◦ 추대가 발생하였을 경우 극조생종은 추대가 되더라도 상품성의 저하가 약하여 수확이 가능하고 조생종은 추대된 것을 제거하여 비대를 돕도록 하고 잎 양파로 조기에 출하하도록 하며, 중만생종은 더 이상 구의 비대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추대발생 포기를 뽑아내 주위 포기의 비대를 돕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