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 병원균 :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 불완전균에 속하며, 소형분생포자(단세포, 계란형 또는 콩팥모양, 크기 2.5~ 4×6~15㎛)와 대형분생포자(초승달모양, 3~5세포, 크기 3.5~5.5×21~35㎛) 형성, 후막포자는 구형, 오래된 균사에서 형성, 직경 7~11㎛임
2. 병징과 진단
◦ 전 생육기에 발생되는데, 유묘기에는 잘록증상으로 나타나고 생육기에는 포기 전체가 시드는 증상을 나타내며, 시들음 증상을 보인지 3~5일이 지나면 회복이 어렵고 식물체는 곧 죽음
◦ 기온이 상승하고 건조한 낮 동안에 심하게 시들고 아침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역병과는 달리 지상부위는 침해를 받지 않지만 과실이 작고 불량해짐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토양전염성이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주로 후막포자로 월동하며, 기주가 없이도 토양 내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려움
◦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 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거리로 이동됨
◦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증상이 나타남
◦ 유묘기의 발병적온은 18~20℃, 생육기 24~30℃이며, 16℃ 이하나 35℃ 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산성토양(pH 4.5~5.5)과 사실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4. 방제방법
◦ 연작을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며, 저항성 호박(뚝심토좌, 흑종호박, 신토좌 등)을 대목으로 사용함
◦ 미숙퇴비 사용을 금하고 토양 내 염류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