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PDA 배지에 형성된 균핵, 병원균(좌 : S. sclerotiorum, 우 : S. minor)
균핵에 형성된 자낭반, 병원균(좌 : S. sclerotiorum, 우 : S. minor)
자낭과 자낭포자, 병원균(좌 : S. sclerotiorum, 우 : S. minor)
1. 병원균 : Sclerotinia sclerotiorum, S. minor 등
2. 병징과 진단
◦ 일반 노지보다 시설들깨 연작지에서 피해가 크며, 국내에는 대략 7종의 균핵병균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 줄기의 지제부에서부터 표피층이 약간 무르고 흰 균사가 자라다가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되고 감염된 식물체는 지상부가 시들고 생육이 부진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환부에 형성된 균핵이 땅으로 떨어져 토양표면에서 월동한 후 직접 발아하여 땅과 맞닿은 줄기 등에 침입하거나 자낭반을 만들어 그 안에 형성된 자낭포자가 비바람 등에 날려 식물체의 지상부를 침입하여 1차 전염을 함
◦ 이 병원균은 분생포자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주로 균사에 의해 2차 전염을 하므로 다른 병해와 같이 대발생하는 경우는 적음
◦ 비교적 저온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촉성 및 반촉생 재배에서 가온 기간이 끝날 무렵 시설 내 온도가 낮아지고 밤낮의 기온차가 심해 하우스 내 습도가 높아지면 대발생함
4. 방제방법
◦ 시설 내의 온도와 습도관리를 잘 조절하고 질소비료 과용을 삼가며, 이병물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소각 또는 매몰함
◦ 토양을 전면 멀칭하고 점적관수하는 방법은 균핵병 뿐만 아니라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토양을 깊게 갈아서 표토의 균핵을 토양깊이 매몰시키기도 함
◦ 발생이 심함 포장은 화본과 작물로 2~3년간 돌려짓기를 해야 함
◦ 균핵은 물 속에서 타 미생물에 의해 쉽게 사멸되므로 처리가 가능한 포장은 2~3개월간 담수하면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임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잿빛곰팡이병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