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쥬키니모자이크병
1. 병원균 : Zucchini Mottle Mosaic Virus (쥬키니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ZGMMV)
2. 병징과 진단
◦ 잎의 초기 증상은 작은 황화 반점이 잎에 다수 나타나고 진전되면 얼룩덜룩한 약한 모자이크 증상으로 변함
◦ 과실의 표면은 작은 홈 및 볼록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굴곡 증상인 기형과로 변형하여 상품성을 손실하게 되며, 이와 같은 증상은 암꽃이 개화하기 전 어린 과실에서도 관찰이 가능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종자, 토양, 접촉 전염을 하지만 진딧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음
◦ 물리적으로 안정화 되어 있어 실온에서 수 개월 병원성을 유지하고 80~9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해야 전염력을 상실하며, 세포 내 높은 농도로 존재하면 전염력이 강하고 내보존성이 긴 특성을 갖고 있음
4.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며, 종자 소독은 73℃에서 3일간 열처리를 해야 예방할 수 있으나 일반 농가에서 실시하기에는 종자발아 및 묘 소질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종자 구입 시 열처리 소독을 실시한 종자를 구입함
◦ 발병된 포장에서 사용된 도구 등은 3% 제3인산소다액, 비눗물, 바이러스 억제물질 등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사용함
◦ 발병된 토양에서는 2~3년간 박과작물 이외 타작물로 윤작함
◦ 국내 토양소독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조멧 입제는 이 바이러스 토양 전염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병물 제거 후 소석회 200kg/10a를 시용하고 로타리를 쳐서 약간의 습윤 상태를 유지하여 이병 잔재물의 부패를 촉진하는 것이 토양 전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정식 시 10% 탈지분유액에 묘의 근권 부위를 침지하여 정식하면 발병을 억제할 수 있음
◦ 고추 등에 등록된 유기농업자재(빅토리골드, 팜월드 등)를 이용하여 1차 감염 예방 및 2, 3차 전염을 차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