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참외 발효과
채소 > 참외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참외 발효과

영문명 : Melon Fermentation

식물명 : 참외

1. 피해증상

외관상으로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과실을 절단해 보면 태좌부와 그 인접된 과육이 수침상으로 갈변된 것이 있으며, 피해가 심해지면 과육부까지 변색하고 심하게 발효된 것은 냄새가 나고 단맛도 떨어짐

이러한 현상은 수확 1주일 내지 10일 쯤 즉, 황숙기 이후에 주로 발생함

발효과 판단요령은 과실을 물에 담가 3골 이상이 확실하게 물 위로 뜨면 대체로 정상과이나 1골 정도 뜨거나 가라앉는 것은 이상발효과 또는 물찬과 이며, 2~2.5골 뜨는 것은 경미하지만 발효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함

또한 발효과는 표피 부근의 과육이 정상과 보다 단단하여 손가락으로 두드려 보면 정상과는 툭툭둔탁한 소리가 나고 발효과는 딱딱하는 맑은 소리가 남

 

2. 원 인

저온과 일조부족으로 성숙이 지연되면 과피가 경화되어 과육에 비해 과피의 성숙이 늦어지고 과실의 산소흡수가 억제되어 과육 내 발효현상이 일어남

세력이 강한 대목에 접목재배를 하거나 초세에 비해 착과수가 적을 때, 시비량이 많거나 토양수분이 많아 질소성분이 과잉 흡수되어 체내 질소농도가 높아지면 웃자람을 초래하여 발효과가 생김

과다시비 또는 연작에 따른 염류집적으로 암모니아태질소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칼리가 집적되면 길항작용에 의해 석회 흡수가 억제되어 과육에 석회함량이 부족하여 발효과 발생이 증가함

 

3. 대책 및 예방

과실비대기에 저온이 되지 않도록 지중가온을 하거나 보온력을 높여서 밤낮의 평균기온을 20이상 유지시키며,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함

질소와 칼리의 시비량을 많지 않도록 하여 석회의 흡수가 잘 되도록 하고 토양산도는 pH 6.0~6.5 기준을 조절함

과실비대기에 관수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발생이 많아지므로 물관리에 주의해야 하고 건조할 때는 10a5~10톤 이내로 관수하고 수확 1주일 전부터는 물을 주지 않는 것이 발효과 발생을 억제하고 당도의 증가에 효과적임

신토좌 등 세력이 강한 호박대목에 접목재배를 하면 흡비력이 왕성하여 발생이 많아지므로 세력이 다소 약한 대목을 선택하고 적당한 착과수를 확보하여 과실비대기에 초세가 지나치게 강해지지 않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