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yrenochaeta lycopersici
◦ 불완전균에 속하며, 병자각은 상부에 강모 형성, 병포자는 무색, 단세포, 크기 3~8×1~2㎛임
2. 병징과 진단
◦ 병든 식물체는 초기에 푸른 상태로 약간 시들다가 밑에 있는 잎부터 황화되어 점차적으로 위쪽으로 올라가며, 진전되면 전체적으로 누렇게 변하여 시들고 후에 말라 죽음
◦ 뿌리는 처음에 잔뿌리와 갈림뿌리가 갈색으로 되어 부패하고 갈변된 뿌리의 표면은 균열이 생기고 코르크화 되며, 굵은 뿌리는 잔뿌리의 형성이 적어서 우엉뿌리와 같이 코르크화 되면서 갈변함
◦ 감염 부위에는 검은 소립의 균핵이 많이 형성되고 병든 뿌리의 심부와 표피층은 쉽게 분리되고 부서지며, 지표부근의 줄기는 피층부가 흑갈색으로 변색되고 병반부가 길쭉해지는 것이 특징임
◦ 뿌리썩음병의 증세와 매우 비슷하나 병징이 진전되면 뿌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고 굵은 뿌리의 표피가 코르크화 되어 세로로 찢어지며, 줄기의 도관도 갈변하지 않는 것으로 구별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 붙어서 토양에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되며, 토양에서의 생존기간은 명확하지 않음
◦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22~24℃, 발병적온은 13~18℃로 저온을 좋아해 겨울철 촉성 및 반촉성 재배에서 주로 발생하며, 고온기에는 발생하지 않음
◦ 저온에 의한 뿌리활력 저하, 염류장해에 의한 뿌리 장해, 질소과다 등으로 뿌리의 생육이 약해졌을 때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4. 방제방법
◦ 비료를 적량시용하고 저온기 시설 내 온도를 10℃ 이상으로 관리함
◦ 정식 전 토양소독을 철저히 하고 저항성 대목으로 접목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시들음병에 준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