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노지와 시설의 억제재배 등에서 주로 5월 이후에 정식하는 고온기에 많이 발생하고 겨울철 시설재배에서도 초세가 왕성할 때 발생하며, 대개는 정식 후 20~30일경에 제3~4화방 부근에서 발생함
◦ 초기의 증상으로는 줄기의 일부가 갈변하면서 괴사하는데, 괴사한 뒤 7~14일 후에 이상줄기가 생기고 차츰 마디 사이에 세로로 움푹 들어가는 증상이 생기나 심할 때는 가운데에 구멍이 생겨 반대쪽까지 뚫리게 되며, 이러한 줄기를 잘라보면 갈색괴사 반점이 보이기도 함
◦ 이상줄기가 발생하게 되면 마디 사이는 현저하게 짧아지고 일반적인 줄기에 비해 매우 두꺼우며, 원가지와 곁가지의 길이가 같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의 화방은 꽃이 빈약해서 착과가 불량하게 됨
2. 원 인
◦ 생장이 빠른 시기에 고온과 질소 및 토양수분의 과다가 원인이 되어 양분의 흡수가 고르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특히 질소의 과잉 흡수에 의해 석회와 붕소의 흡수가 억제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나 자세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음
◦ 어린 모종을 정식했을 때나 어떤 장해로 인하여 1화방이 착과되지 않을 때 생육이 왕성해지면 이상줄기가 많이 발생함
◦ 품종에 따라 차이가 큰데, 풍록, 강력미수, 대형복수, 강력동광, 동해3호 등은 발생률이 높은 반면 내병영수, 뇌전, 약조 등을 발생률이 낮음
3. 대책 및 예방
◦ 육묘기에 관수를 줄이고 육묘일수를 약간 늘려주며(저온기 정식 시), 정식 후 1화방 비대기까지는 관수량을 줄여 과번무를 억제시키고 생육이 좋지 않더라도 1화방 착과를 하지 않으면 안됨
◦ 광이 잘 들어오도록 하고 기비 보다는 추비 위주로 관비를 하며, 과번무가 될 때는 곁순을 키워서 질소의 선단부 집적을 방지함
◦ 비료 시용 시 질소나 칼리질 비료가 과다하지 않도록 하고 칼슘이나 붕소가 부족되지 않도록 균형시비 함
◦ 응급대책으로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엽면시비하고 수경재배에서는 배양액의 농도를 1.7dS/m 이하로 낮추어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