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Botrytis cinerea
2. 병징과 진단
◦ 주로 잎, 가지, 꽃에 발생함
◦ 잎의 가장자리나 앞 끝부분이 데친 것 같이 변색된 병반이 생기고 잎이 오그라들고 오래되면 잿빛곰팡이가 형성되며, 어린 가지나 새 가지에도 같은 증상이 나타남
◦ 최근에는 습도가 높은 겨울철에 수확(채화)한 줄기의 단면이나 절곡(가지를 자르고 구부리는 작업)한 줄기의 상처부위가 감염되어 가지가 말라죽는 피해가 늘고 있음
◦ 새순이 감염되면 꺾꽂이모(삽목묘)가 통째로 말라죽고 표면에 잿빛곰팡이가 많이 발생함
◦ 가장 큰 피해는 저장 시 꽃잎에 아주 작은 갈색의 점무늬를 형성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것과 여름철 수출 시 꽃잎 부패증상을 유발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이병부위에서 균핵 혹은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여 기온이 20℃ 정도이고 습도가 높아지면 균핵이 발아하거나 균사에서 분생자경과 분생포자가 대량으로 형성되고 식물체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킴
◦ 시설 내 다습한 상태와 아침 저녁의 급격한 온도 하강은 발병을 조장함
◦ 다량의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물을 주는 과정에서 쉽게 전염되고 환기가 나쁜 하우스나 밀식할 경우 많이 발생함
4. 방제방법
◦ 온실이 지나치게 다습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제거함
◦ 발생초기 적용약제로 방제하되 수확기에는 약해에 주의하고 약의 흔적이 없는 훈연제나 유제로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