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차먼지응애

영문명 : Broad mite

식물명 : 밭작물

1. 학명 : Polyphagotarsonemus latus

 

2. 피해와 진단

주로 생장점 부근의 어린잎에 가해하며, 잎 뒷면에 기생하면 잎이 뒤쪽으로 말려 기형이 되고 뒷면은 갈색으로 변하면서 광택이 나며, 경화되어 부러지기 쉬움

피해를 심하게 받으면 생장점 부근의 잎이 말라 떨어지고 계속 새잎으로 피해가 확대됨

 

3. 형 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극히 작은 응애이며, 알은 흰색으로 편평하고 표면에 공기 방울 모양의 작은 덩어리가 많이 나 있음

유충은 0.13mm 정도의 반투명한 유백색이고 다리가 3쌍이며, 초기에는 주름살이 많지만 자라면서 몸이 팽창하여 점차 암컷성충과 비슷한 모양이 됨

정지기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이후 한번 더 탈피하여 4쌍의 다리를 지닌 성충이 되는데 암컷은 0.23~0.26mm의 담갈색의 납작한 장타원형이고 수컷은 0.17~0.21mm의 황갈색 육각형 모양임

 

4. 생 태

고사한 잎이나 그루터기에서 집단으로 월동하고 발생이 심한 시기는 2~5월로 다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며, 5월 이후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면 밀도가 감소함

알에서 성충까지 여름에는 5일이 걸리고 시설 내에서는 월 6세대 이상 경과할 수 있으며, 발육적온인 15~20보다 높아지면 사망률이 증가하고 산란율도 떨어지므로 25이상의 고온은 생육에 적합하지 않음

 

5. 방제방법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고추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하며, 순 부위를 집중적으로 가해하므로 순 부위의 어린잎에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초기에 약제를 살포하고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비교적 높으므로 약제의 선택보다는 살포량과 살포간격을 잘 조절해야 함

약제 살포 후 전개되는 잎을 확인하여 일부 개체가 살아남았다면 재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7~10일 간격으로 2~3회 연속 살포함

차먼지응애 알과 유충

차먼지응애 알과 유충

잎 증상

잎 증상

잎 앞면 증상

잎 앞면 증상

잎 뒷면 증상

잎 뒷면 증상

생장점 부근의 잎 피해

생장점 부근의 잎 피해

피해 꼬투리아 건전 꼬투리

피해 꼬투리아 건전 꼬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