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흰날개무늬병 Rosellinia necatrix (불완전세대 : Dematophora necatrix)
자주날개무늬병 Helicobacidium mompa
2. 병징과 진단
◦ 나무의 세력이 약화되고 잎이 적어지고 황색을 띠며, 낮에는 시들었다가 밤에는 다시 싱싱해지는 것이 반복되다가 심하면 조기 낙엽되고 말라 죽음
◦ 뿌리를 파보면 뿌리 표피가 썩었거나 흰색 혹은 회색의 균사(백문우병) 또는 적갈색 혹은 붉은 자색의 균사(자문우병)가 붙어 있으며, 피해를 받은 나무의 뿌리는 껍질이 벗겨짐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토양 속의 거친 미숙 퇴비나 덜 썩은 나무 뿌리에서 포자 상태로 월동하며, 퇴비나 썩은 뿌리 등의 유기물이 완전히 분해되면 생존하지 못함
◦ 자주날개무늬병은 잡목이 많은 야산을 새로 개간하여 조성한 과수원 토양에서 발생이 많음
◦ 흰날개무늬병은 미숙 유기물이 많은 곳에서 발병이 많음
◦ 짚, 전정지 같은 거친 유기물을 많이 넣거나 배수가 불량한 곳, 지나치게 건조한 토양에서 발생이 많음
4. 방제방법
◦ 완숙 토비를 사용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관리함
◦ 병든 나무 발견 시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사과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수관 아래 흙을 걷어낸 다음 감염된 뿌리는 제거하고 충분한 약액을 관주 처리하며, 걷어낸 흙에도 약액을 잘 섞은 다음 다시 덮어 방제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
◦ 감염된 나무는 꽃, 과실 등을 따주어 나무의 세력을 회복시킴
◦ 피해를 받은 나무가 말라 죽은 경우는 즉시 뽑아내고 발생한 구덩이에 불을 놓아 태우거나 다조멧 입제(밧사미드) 등으로 토양 소독을 실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