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Monilinia mali
◦ 자낭균에 속하며, 균핵 및 자실체를 형성,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 크기 8.8~9.6×3.1~3.6㎛임
◦ 자실체는 부패된 이병과에서 발생하지만 자낭반 형성에는 0~2℃의 저온이 20일 이상 경과해야 함
2. 병징과 진단
◦ 이른 봄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하며, 잎, 꽃, 어린 과실에 발병
◦ 잎이 전개된 후 어린잎의 주맥으로부터 잎맥에 길이 2~3cm 정도의 적갈색 변색부를 나타내고 썩으며,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마름
◦ 꽃은 병에 걸린지 2~3일 이내에 갈색으로 변하여 서리 피해를 받은 것과 같이 말라 죽게 됨
◦ 어린 과실의 일부 또는 반에 썩은 반점이 나타나고 병반이 진전되면서 과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황갈색의 물방울이 맺힘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봄철 개화기에 비자 자주 내려 기온이 낮고 다습하여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하면 발생
◦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개화기의 어린잎이나 꽃에 침입하여 잎썩음과 꽃썩음증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만들어진 분생포자가 개화 중 암술머리에 침입하여 과실 썩음을 일으킴
◦ 병든 과실은 6월 중․ 하순에 땅에 떨어져 균핵으로 되어 월동한 후 이듬해 전염원이 됨
◦ 잎의 발병은 주로 개화기 직전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
4. 방제방법
◦ 자실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원을 건조하게 하고 발아 7~10일경 10a당 소석회 30~40kg 시용
◦ 전년도 병든 낙엽을 제거하여 1차 전염원을 제거하고 병든 부위는 빨리 제거하여 2차 전염을 막음
◦ 발생 상습지는 발아 전부터 개화 전까지 석회유황합제(5도액)를 10일 간격으로 4회 정도 살포하는 것이 좋으나 발병이 적은 경우에는 2회 살포로 충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