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Diplocarpon mali (불완전세대 : Marssonina coronaria)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은 2중막, 크기 55~80×15~20㎛, 자낭포자는 무색, 2세포, 방추형으로 한쪽이 짧거나 두꺼운 모양을 하고 있음
◦ 분생포자는 무색, 2세포, 곤봉형으로 눈사람 모양, 크기 20~24×7~9㎛임
※ 국내에서는 자낭포자세대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병원균 분리배양이 어려움
2. 병징과 진단
◦ 주로 잎에 발생하나 드물게 과일에도 발생(잎에 발생하지 않으면 과일에도 발생하지 않음)
◦ 잎에는 처음 자색 또는 흑갈색의 작은 반점 형성, 점차 확대되어 갈색 또는 흑갈색의 대형 병반 형성되며, 병반 둘레가 녹색으로 남고 다른 부위는 황색으로 변하여 조기 낙엽
※ 황색 낙엽 중 녹색부위 갈색병반이 병원균 침입 부위로 이 증상이 없는 황색 낙엽은 위조 등으로 변색된 것임
◦ 병반에 보이는 검고 작은 반점은 분생자층으로 손으로 문질렀을 때 까칠한 느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균사 또는 자낭반의 형태로 월동 후 다음 해 자낭포자와 분생포자가 1차 전염원이 되며, 감염 후 2~6주 잠복기간을 거침
◦ 4월 상순~5월 하순부터 포자가 비산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많은 양이 비산되고 10월까지 비산
◦ 잎에서는 빠르면 5월 중·하순부터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7월 상순경에 관찰할 수 있고 8월 이후 급증하여 9~10월까지 발생
◦ 특히 4월 상·중순경 강수량과 밀접한 관련 있고 여름철에 비가 많고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배수불량, 밀식, 농약 살포량이 부족한 사과원에서 발생이 많음
4. 방제방법
◦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묻어 월동 전염원 제거
◦ 등록된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