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사과 자주날개무늬병(자문우병)
과수 > 사과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사과 자주날개무늬병(자문우병)

영문명 : Violet root rot

식물명 : 사과

1. 병원균 : Helicobasidium mompa

담자균에 속하며, 담자포자는 무색, 단세포, 난원형으로 정단은 둥글고 기부는 뾰족하며, 크기 10~28×4.5~8, 균핵은 자홍색, 구형, 직경 0.3~2cm

포자를 잘 형성하지 않는 토양전염성 진균으로 균사의 분지는 직각이나 예각, 분지점에서 균사가 다소 움푹 들어감

 

2. 병징과 진단

초기에는 잎이 조기에 황화되고 신초의 생육이 나빠지며, 화아의 착생이 많고 과실의 굵기는 작아지고 색깔이 빨리 남

병이 진전되면 잎이 황화되고 지상부는 극도로 쇠약해져 고사하며, 심하게 감염된 나무의 지하부 표피를 잘 살펴보면 적자색 실 모양의 균사나 균사속을 볼 수 있음

병이 걸린지 오래되고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원줄기 상부에도 자주색 구름모양의 버섯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음

병에 감염된 뿌리는 표피가 쉽게 벗겨지고 목질부로부터 잘 이탈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토양 속에 잔존하는 이병물에 의해 전염되고 담자포자에 의해 전염되는 일은 매우 희박하며, 병원균은 미분해된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오래 생존할 수 있고 보통 4년 정도 생존이 가능함

산림토양이나 뽕나무 밭 등에서 많이 존재하고 생육도 왕성하므로 이러한 곳을 개간하여 과원을 조성한 곳에서 발생이 많음

감염시기는 대략 7월 상순부터 9월 중하순경으로 추측되며,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화본과를 제외한 거의 모든 작물에 발생함

생육온도는 8~35, 최적온도는 27

 

4. 방제방법

사과원을 새로이 조성할 때는 식물체의 뿌리나 잔재를 제거한 다음 토양소독 실시

목에 병원균이 묻어서 옮겨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묘목을 심기 전에 침지소독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객토 및 토양개량을 실시하고 석회나 인산질비료 시용

뿌리를 완전히 노출시킨 다음 병든 뿌리를 제거하고 뿌리 부근에 약제를 처리한 후 복토할 흙에도 약을 혼합하여 복토하며, 복토할 때 완숙퇴비를 시용하면 한층 효과가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