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사과 역병
과수 > 사과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사과 역병

영문명 : Phytophthora fruit rot

식물명 : 사과

1. 병원균 : Phytophthora cactorum

편모균에 속하며, 유주자낭은 장타원형 또는 난형, 대체로 유두돌기 뚜렷, 크기 36~50×28~ 36, 난포자는 구형, 직경 27~30, 4의 뚜꺼운 막

 

2. 병징과 진단

과실역병은 처음 엷은 갈색의 병반이 형성되어 진전되면 과실 전체에 확산되고 변색된 과실은 부패하지 않고 딱딱한 상태로 쉽게 낙과되며, 과실을 절단하면 과실 중심부에 백색의 균사가 보임

줄기역병은 보통 대목접목부위에서 1m정도 높이에서 발생하고 초기에는 피목부에서 검붉은 색의 진물이 흘러나오며, 칼로 벗겨내면 빠르게 붉은색으로 변색되며, 절단해 보면 껍질과 목질부 사이에 흰색의 균사를 볼 수 있음

뿌리역병은 나무의 지제부 수피가 완전히 갈변되어 부패된 것을 볼 수 있고 지표면 근처의 잔뿌리는 갈변되어 부패하였으나 땅속 약간 깊은 곳의 뿌리는 건전한 것이 특징

대목역병은 땅가부분과 접하는 대목부에서 목질부가 흑갈색으로 변색되고 진전되면 균열이 생기며, 검붉은색 진물이 흘러나오는 부위를 칼로 벗겨내면 약한 알코올 냄새와 함께 조직이 빠르게 붉은색으로 변색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주로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난포자 형태로 월동, 토양 중에서도 난포자 형태로 오랫동안(2년 이상) 생존하여 전염원이 될 수 있음

병원균은 땅가 부분의 목질부나 뿌리부분을 침입, 빗방울에 의해 땅가 부분의 과실에도 이병되어 점차 상부 과실로 전파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고 늦은 봄과 이른 가을에 피해가 크며, 한여름에는 진전이 억제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심하고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움

동해, 한해, 과다결실 등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연관되어 발생하고 토양 내 병원균 밀도 증가는 장기간 제초제 과다살포와 연관이 있음

 

4. 방제방법

낮은 위치의 과실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왜성대목은 낮은 가지에 결과 시키지 않도록 하며, 봉지 씌우기를 함

빗물에 의해 병원균이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지표면에 생초나 피복재로 피복하고 배수가 잘 되로록 암거배수 등 설치

약제살포 보다는 자연초생 재배를 통해 연차별로 토양 내에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 나가는 것이 효과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