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으름밤나방(Akebia leaf-like moth) Adris tyrannus amurensis
무궁화밤나방(Rose of sharon leaf-like moth) Lagoptera juno
2. 피해와 진단
◦ 성충이 밤에 사과원으로 날아와 과실을 흡즙하므로 과실 겉면에 자세히 살펴보면 바늘로 찌른 것 같은 구멍이 나 있음
◦ 내부의 과육은 변색이 되고 스폰지 같이 되어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면 부패하여 낙과되기도 함
3. 생 태
◦ 우리나라에서는 으름밤나방과 무궁화밤나방 등이 알려져 있으며, 우점종은 으름밤나방임
◦ 일몰 후 1시간 전후에 사과원으로 가장 많이 비래하고 9월을 기준으로 할 때는 오후 7시경에 활동을 시작하여 8시 사이에 집중적으로 사과원으로 몰려옴
◦ 하룻밤 이동거리는 보통 100m 정도이고 최대 500m이나 성충의 연령이나 종에 따라 차이가 커서 수 일동안 최대 2km까지 이동
◦ 성충은 잡식성이고 수명이 길어서 한 마리가 같은 사과원에 여러번 반복하여 날아오거나 여러 과수원으로 날아가 가해를 하므로 다발생할 경우 피해가 큼
◦ 과실이 성숙할 때 내는 향기에 유인되어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순으로 가해하고 산 쪽에 인접한 과실에서 피해가 크며, 사과나무 1~1.5m 높이의 과실만을 집중적으로 가해
◦ 유충은 과수가 아닌 산야의 잡목림을 가해하며 발육
4. 방제방법
◦ 낮에는 은신하고 있다가 야간에만 활동하여 약제방제가 곤란하므로 해가 지면 손전등을 켜고 나방을 2~3차례 직접 포살하는 것이 효과적임
◦ 사과보다 복숭아를 선호하므로 복숭아나무를 산지 쪽에 1~2주 재식하여 유인용 나무로 이용
◦ 그물망을 사과원에 설치하는데 그물눈 간격이 10mm이면 90% 이상, 30mm이면 50% 정도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