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hyllactinia kakicola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흑갈색, 편구형, 직경 168~238㎛, 8~23개의 바늘모양 부속사, 자낭은 계란모양으로 한쪽 끝이 약간 뾰족하게 돌출, 크기 80~115×25~55㎛, 1개 자낭에 2개 자낭포자, 자낭포자는 긴 타원형, 크기 26~41×16~25㎛임
◦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짧거나 긴 곤봉모양, 크기 26~41×16~25㎛임
2. 병징과 진단
◦ 주로 잎에 나타나지만 피해는 심하지 않음
◦ 5월 하순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고온기에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가 9월이 되어 서늘해지면 다시 나타남
◦ 봄철 어린 잎에서 발병하면 잎 뒷면에 하얀 균사가 나타나고 엽맥이 흑갈색으로 변하며, 잎 앞면에는 1mm 정도의 작은 흑색 점으로 나타나고 병이 진전되면 서로 겹쳐 불규칙한 대형 병반을 만들며, 이 시기에는 흰가루병 특유의 균사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움
◦ 초가을에는 다 자란 잎에서 잎 뒷면이 흰 균사층으로 덮인 흰가루병 특유의 증세가 나타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든 부위로부터 떨어져 나무줄기에 붙은 자낭각이 월동 후 4~5월경부터 자낭포자를 비산하여 1차전염원이 되고 봄부터 가을에 걸쳐 잎 뒷면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2차전염원이 됨
◦ 병원균은 15~25℃에서 잘 자라며, 자낭각은 15℃ 전후에서 잘 형성됨
◦ 5~6월경 비가 자주 오고 여름철 기온이 서늘한 해에 많이 발생하며, 지나치게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웃자람 가지가 많은 과수원에서 발병이 심하고 6~7월 초기 방제가 소홀한 과원이 후기 발병이 심한 경향임
4.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바로 제거하고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지 않으며, 통풍과 햇볕 쪼임이 좋도록 만듦
◦ 병이 발생하기 전인 5월 상~중순부터 약액이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방제를 철저히 함
☞ 적용약제 : 마법사(사1+아4), 차세대(나1+아4), 한빛(사1), 삼공헥사코나졸(사1), 해모아(다5), 보가드(사1), 해비치(다3), 파리사드(사1)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