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 녹반증
과수 >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감 녹반증

영문명 :

식물명 : 감

1. 피해증상

9월 중순경부터 과피 일부분에 엽록소가 분해되지 않고 약간 들어가면서 푸른 무늬가 생김

과육은 이상이 없으나 이러한 과실을 저장하면 검게 변하여 상품성을 잃게되며, 주로 송본조생부유, 부유, 이두 등의 품종에서 많이 발생함

 

2. 원 인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망간의 과잉 흡수로 인하여 발생하며, 발생 상습지의 과원 토양은 토양산도(pH)가 낮고 칼슘의 함량이 적으며, 망간의 함량이 많음

녹반증 과실의 녹반부는 건전부에 비해 망간의 함량이 높음

산성 토양에서 감나무 생육기인 7~9월의 강우로 인하여 토양 속의 불용성 망간이 가용성 형태로 용출되어 뿌리로부터 과다 흡수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임

그 외에도 병해충의 피해, 농약 피해, 과실 표면의 습해 등으로 인하여 녹반이 생길 수 있음

 

3. 대 책

석회의 시용은 칼슘 흡수를 촉진시켜 망간:칼슘의 비율을 낮추는 직접적인 효과와 토양 산도를 높여 토양 중의 망간을 불가급태화 하는 간접적인 효과에 의해 녹반증 발생을 억제시킴

응급대책으로 주당 15kg 정도의 탄산칼슘을 물에 3~4배로 희석하여 나무 주변에 15~20cm 깊이의 구덩이를 판 후 관주하는 방법이 있음

녹반증은 저장 중에도 진행되므로 선과 시 이상반점이 나타난 것은 제거하고 발생 과원의 과실은 장기 저장하는 일이 없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