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 과피흑변과
과수 >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감 과피흑변과

영문명 :

식물명 : 감

1. 피해증상

과실이 착색기에 이르면 감나무 위 또는 수확 후의 과실 표면에 엷은 검은 점 또는 가는 선과 구름모양 등의 검은 무늬가 생김

점상형 : 꽃이 떨어진 후인 6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성숙기까지 점차 많아지며, 직영 1~3mm의 둥근 점이 과실 배꼽부위의 중심부에 많이 발생함

파선상형 : 과실 배꼽부위와 기부쪽에서 과실 배꼽부위 방향으로 수많은 균열이 생겨 파선상의 흑갈색무늬가 생기며, 점상형 보다 늦은 9월 중하순부터 나타나고 과피 착색과 병행하여 성숙기에 급증함

구름무늬형 : 수확기에 많이 발생하고 수확기가 늦으면 거의 모든 품종에 발생하기 쉬우며, 서리의 피해를 받으면 많이 발생하고 과실 배꼽부위로부터 과실 중심부에 엷은 먹물을 뿌린 것처럼 부정형으로 나타남

 

2. 원 인

착색기에 농약 등이 녹은 물방울이 미세한 상처의 부위로 침입하여 표피 조직에 도달하여 이곳에서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타닌성 물질인 폴리페놀 물질이 산화되어 흑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과수원 내의 공기습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초생재배지, 수관 하부나 지표면에 가까운 과실, 북향의 경사지 포장,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골짝기에서 생산된 과실, 성숙기인 가을철 안개의 발생이 많아 과실 표면에 수분이 오랫동안 맺히는 지역, 단감 저온저장 시 오전에 수확하여 곧바로 저장한 과실에서 많이 발생함

석회보르도액 살포는 점상형 흑변과의 발생은 억제하였으나 파선상형 또는 구름무늬형 발생을 많게 하고 착색기 근접 살포는 현저하게 흑변과의 발생을 증가시켰으나 다이센엠은 흑변과의 발생을 전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

 

3. 대 책

가을철 안개가 많은 곳, 일조시간이 짧은 골짜기는 흑변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조생종을 심어 일찍 수확함

과실성숙기, 수확기에 약제의 근접살포를 지양하고 특히 9월 상순 전후의 석회보르도액 살포와 유기인제의 살포는 가능한 피하고 7월 이후의 탄저병 방제는 동제가 아닌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함

초생재배, 밀식과원은 습도가 높으므로 예초를 자주하고 서리를 맞으면 발생이 많으므로 적기에 수확하며, 특히 저장 중에 많이 발생하므로 수확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