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뒷흰날개밤나방
과수 > 감귤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뒷흰날개밤나방

영문명 : Variegated cutworm

식물명 : 감귤(한라봉)

1. 학 명 : Peridroma saucia

 

2. 피해와 진단

유충이 잎과 과실을 식해하는데, 과실의 경우 구멍을 뚫으며 파먹기도 함

성충 발생시기에 과원에 잡초가 많이 나 있는 과원에서 피해를 볼 수 있음

 

3. 형 태

성충의 몸길이 15~20mm, 날개편길이 30~40mm 정도이며, 앞날개는 붉은 빛이 있는 회갈색이고 뒷날개는 흰색이지만 가장자리는 검은색임

노숙 유충의 몸길이는 약 40mm 내외로 몸빛깔은 옅은 회색~짙은 갈색이며, 등면 중앙에 4~7개의 황색점이 뚜렷이 나 있고 배의 8번째 마디 등면에 W자 모양의 검은 무늬가 특징임

 

4. 생 태

3~4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번데기로 땅 속에서 월동함

식물의 줄기, 하부엽, 잔가지, 건물의 벽, 담 등에 약 200~400개의 덩어리로 산란하는데, 상온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약 38~45일 걸리며, 성충은 0에서 8, -2에서 4주 동안 생존이 가능함

국내에서는 1997년 제주도 감귤원에서 최초로 발견되었고 비래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 정착하여 경기도 지역까지 성충 발생이 확인됨

 

5. 방제방법

감귤을 직접 가해하기보다는 주로 과원의 잡초를 식해하므로 특별히 약제 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잡초를 철저히 관리함

유충의 1차 발생시기가 4월 하순~5월 상순경으로 발생이 많은 지역에서는 5월 이전에 제초를 하여 밀도를 줄이는 것이 좋으며, 제초를 하지 못한 과원에서는 발생이 확인된 후 제초제를 살포할 경우 먹이가 부족하여 감귤나무올라가 피해를 주게 되므로 제초제를 살포하지 말고 1세대가 경과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