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Glomerella cingulata (불완전세대 :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흑색, 구형 내지 플라스크형, 직경 250~320㎛, 자낭은 곤봉형, 크기 50~110×8~10㎛,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약간 구부러진 방추형, 크기 12~28×4~7㎛임
◦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 또는 원통형, 크기 12~22×4~7㎛임
2. 병징과 진단
◦ 수량과 품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병으로 잎, 어린 새순, 가지, 과실에 발생함
◦ 잎과 화서에는 검은 반점을 형성하고 차츰 커져 원형병반이 됨
◦ 과실에서는 초기에 병해가 표면상에 거무스름한 갈색 반점이 나타나지만 습도가 많은 환경에서는 함몰이 되거나 주황색이나 짙은 갈색의 포자가 발생하고 아래쪽 과육에서는 연화 현상이 일어나며, 감염된 과실은 유통과정 중 많이 발생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자낭은 저온기에 죽은 가지나 낙엽에서 발견되지만 감염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함
◦ 보통 병반부에 만들어진 분생자퇴(작은 흑점) 형태로 월동한 뒤 1차 전염원이 되며, 강우기에 분생포자가 빗물에 의해 이동하면서 감염이 시작되고 습도가 높은 상태가 몇 시간 지속되면 어린 과실의 표피를 직접 관통해 감염이 시작됨
◦ 신엽에는 연중 발생하고 7~8월 고온기에 정체 현상을 보이다가 가을부터 겨울에 증가하며, 2~5월에 발생이 많음
◦ 어린 새순에 발생하는 시기와 개화기부터 유과기까지 강우량과 관계가 깊음
◦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5~32℃, 적온은 26~28℃임
4. 방제방법
◦ 강우기에 꽃이 감염이 되면 착과불량이 일어나므로 개화기부터 착과기까지 약제를 예방적으로 살포하고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복숭아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하며, 출뢰기에는 5-5식 석회보르도액이 효과적임
◦ 수세의 유지에 힘쓰고 병에 걸린 잎, 가지, 과실 등은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함
◦ 수확 후 과실을 열수침지(물 46~52℃에 5분간 침지 후 냉수에 5분 정도 냉각)하면 신선도 유기기간을 약 9일 정도 유지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