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hytophthora palmivora
2. 병징과 진단
◦ 무화과 재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으로 노지재배에 치명적인 피해를 줌
◦ 토양과 인접한 과일 아랫부분의 빗물이 튀긴 부위부터 감염되기 시작하여 점점 상부의 과일로 전염되는 증상을 보임
◦ 병든 과일 표면에 하얀 균사가 피고 유주자낭이 다량으로 형성되며, 잎과 줄기에도 피해가 나타나고 주로 어린 잎이나 새순에서 발생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주로 7~8월의 고온다습한 시기에 발생하고 30℃ 전후에서 발병이 심해지며, 강우가 지속될 경우 9월에도 피해가 많이 나타남
◦ 주 재배품종인 ‘승정도우핀’이나 ‘봉래시’ 모두 발병이 많으나 숙기가 빨라 장마철과 겹치는 ‘승정도우핀’에서 피해가 더 큼
◦ 수고가 낮은 일문자 수형이 다른 수형에 비해 발병이 많고 토양 표면을 깨끗이 하는 청경재배나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병하기 쉽고 밀식으로 인해 통풍이 불량하고 과번무한 포장에서도 발병이 많음
4. 방제방법
◦ 시설재배를 하여 빗물을 차단하면 발병하지 않음
◦ 노지재배 시 흑색 P.E.필름 피복은 흙을 덮어 고정하므로 예방효과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제거하기도 어려우므로 보릿짚을 6월 하순까지 토양 전면에 피복하면 역병 예방과 제초를 겸할 수 있어 효과적이나 볏짚은 토양 표면을 습하게 하고 뿌리의 상승을 조장하므로 적당하지 않음
◦ 밀식하지 않고 수형구성을 적절히 하여 통풍이 잘되고 수광태세를 좋게 하면 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
◦ 발생초기 적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하거나 친환경 방제약제인 아인산염 1,000ppm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