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무화과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과수 > 무화과 > 병해

증상

도감정보

무화과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영문명 : Armillaria root rot, Shoestring root rot

식물명 : 무화과

1. 병원균 : Armillaria spp.

 

2. 병징과 진단

아밀라리아종균들의 대부분은 저병원성으로 잎이 떨어진 후나 수분 스트레스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나무가 약해져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여 나무를 죽게 만들며, 몇몇 종들은 병원성이 높아 건전한 나무를 죽일 수 있음

때때로 뿌리에 발생되는 곰팡이나 2차적인 곤충 등과 함께 복합적인 피해를 줌

주로 봉래시에서 발생되며, 비온 후 시들음 증상이 나타나기를 반복하고 이후에 고사하며, 나무를 뽑아보면 뿌리에 흰색의 곰팡이가 번져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자세한 생태는 알려져 있지 않음

북미에서는 현재까지 10여종의 아밀라리아균들이 보고되어 있고(A. mellea, A. ostoyae, A. sinapina, A. germina, A. cepistipes, A. gallica, A. calvescens, A. tabescens, A. nabsnona) 병원성이 높은 A. mellea는 주로 활엽수에 피해를 주지만 A. ostoyae는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 피해를 줌

 

4. 방제방법

이 병은 일단 발생하면 방제하기기 대단히 어려우며, 발병지에서는 수년간 벼과작물을 재배함

병든 뿌리는 뽑아서 소각하고 병든 식물의 주위에 깊은 도랑을 파서 균사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함

토양소독을 철저히 하거나 객토를 실시한 후에 보식하며,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을 가급적 알칼리성으로 개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