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배 겹무늬병(윤문병)
과수 >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배 겹무늬병(윤문병)

영문명 : Black rot, Canker

식물명 : 배

1. 병원균 : Botryosphaeria dothidea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흑갈색, 구형 내지 편구형, 크기 250~320×180 ~310,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장타원형, 크기 24~28×12~14

병자각은 흑갈색, 구형 내지 편구형, 직경 280~420, 병포자는 무색, 단세포, 장타원형, 크기 24~30×6~8

 

2. 병징과 진단

잎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겨 확대되면서 2~4cm의 회백색 병반이 되나 큰 피해는 없음

가지에는 처음 표면에 5~10mm의 혹이 생기는데 이것이 여러 개가 합쳐져 사마귀나 조피증상을 나타냄

과실에는 성숙기에 많이 나타나는데 처음에 갈색의 원형병반이 생겨 점차 진전되면 동심윤문의 병반으로 나타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전염원은 가지나 줄기의 사마귀상 돌기에 생긴 병자각 또는 자낭각에 형성된 포자로 포자의 분출기간은 2~11월이나 특히 분출이 많은 시기는 7월 상순이고 9월 하순이면 급격히 줄어듬

주 감염시기는 5~6월이며 포자의 비산, 발아, 침입에는 빗물이 가장 큰 요인으로 5~6월의 강우량과 강우일수는 수확기의 발병율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5~10mm정도의 강우 시에 포자 밀도가 가장 높음

과실의 감염은 낙화 직후부터 8월 상순까지 계속되나 5~6월에 가장 많고 발병은 25~30에서 많으나 28일 때 가장 심하며, 심식충, 잎말이나방의 가해부위로부터 발병되는 것이 많음

 

4. 방제방법

휴면기에 석회유황합제를 해마다 살포하여 줄기의 사마귀상 돌기 발생을 막음

봄에 줄기 및 가지의 사마귀상을 일찍 긁어 없애고 도포제 또는 구리제나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발라주며, 전정할 때 자른 가지는 제거

나무의 수세가 약하면 발생이 심하므로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고 또 줄기나 가지를 심하게 유인하는 것을 피함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검은별무늬병 약제를 이용하여 6월 중순부터 8 중순까지 10일 간격으로 살포하되 가을비가 계속될 때에는 9월 중순까지 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