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배 흰날개무늬병(백문우병)
과수 >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배 흰날개무늬병(백문우병)

영문명 : White root rot

식물명 : 배

1. 병원균 : Rosellinia necatrix (불완전세대 : Dematophora necatrix)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구형, 자낭은 무색, 긴 곤봉형 또는 원통형, 자낭포자는 암갈색, 단세포, 방추형, 크기 42~44×4~6.5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난형, 직경 2~3

포자를 형성하는 일은 드물고 균핵이나 균사(격막부위 서양배 모양 팽창)로 전염

 

2. 병징과 진단

지상부 병징으로 발병 초기 건전한 나무에 비하여 낙엽이 빠르고 발아가 늦고 잎과 과실의 생육이 불량해지며, 과다 결실되는 경향이 있음

점차 진행되면 잎이 황화되고 신초의 생장이 억제되고 꽃눈분화가 많아지며, 심해지면 신초의 생장은 급격히 나빠지고 수세가 쇠약해져서 나무 전체가 고사

지하부 병징으로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 뿌리는 흰색의 균삭막으로 싸여 있고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병원균은 목질부까지 부패시키므로 빠르면 1년 내에 늦으면 2~3년 후에 고사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배수가 잘되나 항상 토양수분이 충분한 토양 조건에서 생육이 발생이 심하고 토양에 부숙되지 않은 전정 가지 같은 유기물을 시용하면 병원균이 증식하여 병 발생이 급격히 증가

병원균은 포자를 형성하여 전염되는 일은 드물고 주로 균사나 균사속으로 전염되며, 나무의 뿌리에 발생하므로 나무가 고사할 때까지 계속하여 발병

 

4. 방제방법

묘목에 병원균이 묻어서 옮겨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묘목을 심기 전에 반드시 침지 소독을 실시한 후 재식

사과의 어린 과실이나 고구마를 7월 상순경에 나무의 뿌리 부근(10cm 지하)에 묻은 다음 약 30일 후에 굴취하여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발견 시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사과에 등록된 약제 중 배에 가능한 약제를 이용하여 뿌리를 완전히 노출시킨 다음 병든 뿌리를 제거하고 뿌리 부근에 약제를 처리한 후 복토할 흙에도 약을 혼합하여 복토하며, 복토할 때 완숙퇴비를 시용하면 한층 효과가 높음

적절한 수세관리를 위하여 유기물 시용량을 늘리고 배수 및 관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 급격한 건습을 피해야 하며, 나무에 급격한 변화를 주는 강전정을 삼가고 과실을 적절하게 착과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