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동 해
과수 >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동 해

영문명 :

식물명 : 배나무

1. 피해증상

신초 및 2년생 이하의 가지는 저온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특히 선단부는 생장이 늦게까지 진행되어 조직이 충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눈, 피층, 형성층 등의 피해가 큼

피해를 받게 되면 발아 전 눈이 갈변된 것을 관찰할 수 있고 눈당 출뢰수도 정상눈의 6~7개 비해 50% 수준임

어린 과실의 모양은 골이 지고 꽃받침 부착부위가 굴곡이 심한 기형과 발생이 많고 피해를 받았던 가지의 수피 부분은 수확기에도 회복되지 않고 갈변된 상태로 지속되며, 2년생의 약한 가지들은 일부 고사되고 굵은 가지들은 균열이 관찰되기도 함

 

2. 원 인

동해 한계온도(25~-30) 이하 6시간 이상 지속되면 20% 이상 피해 발생되고 8시간 이상 시속 시 심각한 피해가 발생되며, 저온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빠를수록, 동결 후 해빙이 빠를수록 피해가 심해짐

경사지는 냉기가 정체하지 않고 흘러 내려가므로 평지 보다 피해가 적으며, 산지 사이에 위치한 곡간지는 산지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고 인접한 평지는 유입된 냉기류가 모이게 되어 정체되므로 피해가 나타남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형 지역은 야간에 산지로부터 유입된 냉기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피해가 크고 일출 이후 기온의 급상승도 피해를 조장함

산간지로 표고가 250m 이상 되는 평지는 산지에서 야간에 유입되는 냉기류 양이 많고 각종 지표물질의 자체 방사에 의한 과냉각 현상도 심하여 피해가 큼

 

3. 대 책

방상림 및 방품망을 설치하여 냉기 유입을 차단하고 적절한 시비와 정지전정 및 병해충 방제 철저로 조기낙엽 방지

가을철 대목 및 주간부를 지면에서 1m에 백색 수성페인트 도포하거나 짚 등으로 피복하여 방한 조치

심경으로 토양 깊이 뿌리가 내리도록 유도하고 경사지의 경우 추위에 약한 품종은 경사지 위쪽, 강한 품종은 낮은 쪽에 재식

피해받은 과원은 전정시기를 3월 상순까지 최대한 늦추고 꽃눈이 50% 이상 피해를 받은 경우 열매가지를 평년대비 2, 50% 이하인 경우 20% 더 남김

피해 받은 나무는 도장지를 활용 수관을 형성하며, 결실되지 않는 나무는 질소질 시비량을 30~50% 감량 및 수세가 약한 나무는 엽면시비

꽃눈만 피해가 많을 경우 인공수분 실시 및 열매 솎는 양을 줄이고 최대한 결실량 확보

피해부위는 비닐 등으로 잘 감아주거나 부란병 및 나무좀 등 병해충 방제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