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2. 병징과 진단
◦ 핵과류에 많이 존재하는 수지가 수피 밖으로 분출되는 현상으로 병리적인 원인 외에도 생리적인 원인과 환경 및 기계적인 원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함
◦ 눈에 전염되었을 경우 발아되지 않거나 발아 후 갈색으로 변하여 말라 죽음
◦ 가지나 줄기의 감염된 병반부는 약각 오목하게 들어가고 피해부 나무 껍질은 다소 어두운 색을 띠며, 병반 부위에서 엿 같은 투명한 나무진이 분비되고 점가 갈색~암갈색으로 되어 나중에는 굳어져 흑갈색이 됨
◦ 껍질 아래의 안쪽이 불규칙한 원형에서 방추형으로 갈변되고 차츰 병반이 확장되어 가며, 나무진이 다 빠지면 피해부는 건조하여 불규칙하게 터지고 나무의 세력이 극도로 약해져 말라 죽기도 함
◦ 발병 정도는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고사’ 품종은 비교적 저항성이고 ‘나폴레옹’은 감수성이며, ‘좌등금’은 중간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빗물로 전염되고 전정부위나 일반적인 상처, 말라 죽은 눈을 침입하여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변반이 확대됨
◦ 나무 세력이 약하거나 노목 또는 6~7년생 이후부터 발생이 심하며, 과다 결실 또는 복숭아유리나방 피해를 입었을 경우에도 발병됨
4. 방제방법
◦ 웃자라거나 나무의 세력이 쇠약한 경우 발병이 심하므로 강전정을 피하고 바퀴살가지를 만들지 않도록 함
◦ 재식 후 7~8년째까지는 질소비료를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하고 토양의 물빠짐이 좋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