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포도뿌리혹벌레
과수 > 포도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포도뿌리혹벌레

영문명 : Grape leaf louse

식물명 : 포도

1. 학명 : Viteus vitifolii

 

2. 패해와 진단

약충과 성충 모두 포도 뿌리와 잎을 가해하고 뿌리의 피해를 받은 포도 줄기는 봄철 발아기부터 신초생장이 부진하고 수세가 약화되며, 착과가 불량해지고 심하면 나무 전체가 말라 죽음

뿌리 피해는 뿌리혹형과 괴경혹형이 있고 뿌리혹은 새로 나오는 뿌리 표면을 가해하여 선단부가 비대되면서 낫 모양으로 휘어지거나 콩 모양의 혹이 되며, 일반적으로 토양병(Pythium, Fusarium)에 감염되어 1개월 이내 부패

괴경혹형은 새뿌리보다는 늙은 뿌리에 돌기와 같이 괴경을 형성하고 이것은 쉽게 부패되지 않기 때문에 뿌리혹벌레가 계속 발생, 증식할 수 있는 조건이 됨

잎혹형은 잎 뒷면에 콩알 모양 혹이 생기고 잘라보면 약충이나 알이 들어 있음

 

3. 형 태

뿌리혹형 : 성충은 난형이고 암황색이며, 때로는 약간의 녹색을 띠는 것도 있으며, 몸길이 0.9~1.1mm, 약충은 부화 당시는 타원형이지만 제2령 약충 이후에는 난원형으로 몸길이 0.3~0.7mm

잎혹형 : 성충은 난형이고 황색~황갈색이며 뿌리형과 달리 가슴 및 배의 등면에 흑색의 융기가 있으며, 몸길이 0.9~1mm

 

4. 생 태

뿌리혹형 : 뿌리에서 겨울나기를 한 약충은 이듬해 봄 1회 성충이 되고 단위생식에 의해 알을 낳고 6~9회 세대를 되풀이한 다음 약충으로 겨울나기를 하며, 1세대기간은 24, 산란수 100, 알기간 11, 약충기간 11일 정도

잎혹형 : 4월 하순경 겨울나기 알에서 부화된 약충이 새잎으로 가서 성숙한 다음 단위생식으로 다수의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의 일부는 뿌리로 이동하여 뿌리충이 되고 단위생식에 의해 많을 알을 낳음

 

5. 방제방법

토양이 과습한 점토과원에서 다발생 되고 발생된 경우는 토양이 건습되기 쉬운 사토에서 피해가 크고 노목보다는 3년생 이하에서 피해가 심하므로 배수를 철저히 하여 나무가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함

약제 방제시기는 월동 약충이 활동을 시작하는 5월 중순경과 월동에 들어가는 확 후에 수화제는 희석액을 주당 10L 정도 관주하고 입제는 정량을 나무 주위에 뿌리고 흙을 긁어 준 후 충분히 관수해 주되 약제의 과실잔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지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