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자 둘레썩음병(윤부병)
식량작물 > 감자 > 병해

증상

도감정보

감자 둘레썩음병(윤부병)

영문명 : Ring rot

식물명 : 감자

1. 병원균 :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sepedonicum

 

2. 병징과 진단

감염된 식물체는 완전히 자랄 때까지 지상부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거나 병징이 나타나더라도 진전속도가 늦어 다른 병에 의해 감추어짐

전형적인 증상은 보통 개화기 이후에 나타나는데 아랫잎이 한낮에는 시들고 밤에는 회복되며, 잎은 퇴색되고 가장자리가 약간 말림

병이 진전되면 시들음 증상이 심해지고 엽맥 사이가 황화되고 갈변되며, 나중에는 잎이 두드러지게 위로 말리고 하엽이 갈변되어 가장자리가 부서짐

줄기의 지제부가 세로로 갈라지기도 하지만 외광에는 이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줄기를 자른 후 누르면 유백색의 세균이 나옴

감염된 괴경의 유관속 부위는 변색되어 썩고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괴경의 표면이 갈라지고 유관속은 검게 변하여 속이 비게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주로 북미와 유럽에서 발생하고 우리나라에서도 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으나 현재는 발병되지 않고 검역대상병원균으로 지정되어 있음

감염된 괴경 속의 유관속에서 월동하고 병든 괴경을 절단한 칼로 건전한 괴경을 자를 때 접촉에 의해 쉽게 전염되며, 괴경을 담아 두는 자루나 용기에 병든 감자 조직과 함께 담아두면 전염될 수도 있음

18~24에서 잘 발생하고 26이상에서는 발병이 억제되나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병에 걸린 식물은 다른 부패세균의 침입을 받아 쉽게 썩음

 

4. 방제방법

병이 발생되지 않은 포장에서 생산한 건전한 종서를 사용하고 씨감자를 절단할 때 사용하는 칼은 1% 차아염소산칼슘(calcium hypochlorite) 용액으로 소독하여 사용

병이 발견된 포장의 모든 씨감자를 폐기하고 사용한 농기구는 철저히 소독함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발생 초기에 무름병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함

가능약제 : 방범대(4+3), 용마루(3), 가스란(+3), 한우물(3), 영일스마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