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2. 피해와 진단
◦ 이른 봄부터 늦가을에 걸쳐 유충과 성충이 감자잎의 뒷면에 살면서 잎맥과 표피만 남기고 잎살을 먹어 피해잎은 잎맥만 그물처럼 남음
◦ 회백색의 피해 잎은 갉아먹은 이빨자국이 뚜렷하나 차츰 갈색으로 변하고 오그라들면서 구멍이 생김
3. 형 태
◦ 성충은 6~7.5mm의 적갈색 반구형으로 앞날개에는 28개의 흑색점이 있음
◦ 다 자란 유충은 9mm 정도의 방추형으로 담황색을 띠며, 가슴과 배 등쪽에는 나무 가지 모양의 검정 돌기가 몸마디마다 6개씩 있음
4. 생 태
◦ 연 2회(산간지)~3회(평지) 발생하며, 월동한 성충이 이른 봄부터 활동하는데 낮에는 감자 잎을 갉아먹고 밤에는 월동 장소에 숨음
◦ 성충은 5월 중·하순경부터 쉽게 발견되며, 6월 중순~9월 상순까지는 성충, 알, 유충, 번데기가 모두 발견됨
◦ 알은 7일 정도 지나면 부화하고 유충 기간은 약 한 달 정도이며,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데 약 7~8일이 걸림
5. 방제방법
◦ 1회 성충이 발생하는 6월 중순경에 유충과 성충이 다량 발생하면 적용약제 살포
◦ 큰 피해를 주지 않는 밀도라면 초기 방제가 별 의미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