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Liriomyza trifolii
2. 피해와 진단
◦ 유충은 잎이나 줄기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식물체의 잎살을 갉아먹음
◦ 암컷 성충은 산란관으로 잎의 표면에 구멍을 뚫어서 유출된 즙액을 빨아먹어 식흔을 남기고 일부 구멍에는 알을 1개씩 낳아 산란흔을 생기게 함
◦ 피해잎은 초기에는 피해부위가 흰색으로 되었다가 점차 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음
3. 형 태
◦ 성충의 몸길이는 2mm 정도이고 머리, 가슴판, 다리는 대부분 황색이고 그 외는 광택이 있는 흑색임
◦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크고 배 끝에 잘 발달된 산란관을 가지며, 유충은 황색 또는 담갈색임
4. 생 태
◦ 성충은 300~400정도 산란하며, 대부분 잎의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음
◦ 부화한 유충은 잎조직 내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피해를 주다가 종령 유충이 되면 잎의 표피를 뚫고 나와 잎 위나 토양 위로 굴러 떨어져 번데기가 된 후 성충이 됨
◦ 국내에서 월동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고 35℃ 이상의 고온과 10℃ 이하의 저온에서는 발육하지 못함
5. 방제방법
◦ 우화하는 성충이나 알에서 부화하는 유충을 대상으로 전용약제를 5~7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