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Ditylenchus destructor
2. 병징과 진단
◦ 피해를 받은 감자는 뿌리가 썩어서 죽게 되는데, 지상부는 시들음, 위축, 영양결핍과 같은 병징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음
◦ 감염된 감자는 초기에 작은 흰색 반점으로 나타나고 점점 커져 회색 혹은 흑색으로 변하게 됨
◦ 피해를 받은 감자는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고 다른 병원미생물이나 응애 혹은 다른 식물기생선충이 이차적으로 침입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이주성 내부기생선충으로 기주식물이 없을 경우 토양속의 곰팡이를 먹고 삶
◦ 감자 줄기로 침입을 해서 괴경으로 이동하고 또한 감자 괴경의 눈을 통해서 침입하기도 하며, 감염된 괴경으로부터 인근의 건전한 괴경으로 선충이 다시 침입하여 병이 전파됨
◦ 생존 가능 온도는 5~34℃이고 최적 온도는 20~24℃이며, 1세대 기간은 27~28℃에서 18일, 20~24℃에서 20~26일, 6~10℃에서 68일이며, 환경적인 조건만 좋으면 1년에 9세대도 번식할 수 있음
◦ 감자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환경은 15~20℃, 상대습도 90~100%이고 상대습도가 40% 이하에서는 생존하지 못함
4. 방제방법
◦ 건전한 종서를 사용하며, 괴경을 건열처리 하면 방제에 효과적임
◦ 피해를 받은 잔재를 수확 후 제거하고 화본과 등의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함
◦ 토양에 유기물을 투입하면 밀도를 크게 줄일 수 있음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거세미나방이나 방아벌레 약제를 이용하여 종서 파종 전 토양혼화 처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