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Monographella albescens (불완전세대 : Microdochium oryzae)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구형, 크기 150~180×90~120㎛, 자낭은 크기 40~85×8~12㎛, 자낭포자는 무색 방추형, 3~5개 격막, 크기 14~23 ×3.5~4.5㎛임
◦ 분생포자는 무색, 갈고리 모양으로 1개 격막 간혹 2~3개, 크기 6~15× 3~4.5㎛임
2. 병징과 진단
◦ 잎에 갈색 또는 적갈색의 부정형 반점이 형성되거나 잎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암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말라 들어감
◦ 잎의 끝이나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된 병반은 주로 얼룩무늬 혹은 구름모양으로 나타남
◦ 벼의 이삭마름 증상에도 관여하는데 감염된 벼알의 껍질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심하게 감염된 벼알은 전체적으로 암갈색으로 변하여 썩기도 함
◦ 증상이 흰잎마름병과 유사하며, 병이 많이 발생하면 개화기때 벼꽃의 수정이 불량하게 되어 임실율이 떨어짐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 잡초 혹은 종자에서 자낭포자나 균사 형태로 월동한 다음 1차 전염원이 되고 주로 본논 중기에서 출수기에 발생
◦ 발병은 잎이 성숙할 때 시작되는데 비가 올 때나 습도가 높은 시기(출수 후 저온다습한 조건)에 증가하고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면 발생이 심해짐
◦ 병원균의 침입적온은 24~26℃, 분생포자의 비산은 주로 야간에 이루어짐
◦ 일반적으로 일반계 품종들은 통일계 품종이나 통일계×일반계 품종들에 비하여 저항성이고 일반계 품종 중에서도 논벼는 밭벼보다 저항성임
5. 방제방법
◦ 종자소독 철저 및 저항성 품종 선택 재배, 질소비료 과용 금지
◦ 이삭패기 직전부터 수전기 사이 혹은 이삭팬 후 적용약제로 각 1회 방제
☞ 적용약제 : 가스가민(라3), 논가드(라3+자1)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