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 깨씨무늬병(호마엽고병)
식량작물 >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벼 깨씨무늬병(호마엽고병)

영문명 : Heliminthosporium blight

식물명 : 벼

1. 병원균 : Cochliobolus miyabeanus (불완전세대 : Bipolaris oryzae)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구형 내지 타원형, 직경 360~780, 자낭은 곤봉형 내지 원통 곤봉형으로 곧고 약간 휘어진 상태, 겹막을 가지고 크기 140~235×21~26, 자낭포자는 실모양 또는 편모상, 8~12개 격막, 크기 235~648×4~9

분생포자는 거의 원통형으로 일반적으로 휘어져 있고 6~14개 격막, 크기 63~ 153×14~22

이 곰팡이는 Ophiobolin이라는 비기주 특이적 독소를 생성함

 

2. 병징과 진단

어린모는 갈변하여 말라 죽고 성엽에는 농갈색 타원형의 뚜렷한 병반이 생김

심할 경우 이삭목이 갈변되고 벼알에 생길 경우 벼알 표면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김

본답 유수형성기에 주로 하엽에 발생되고 초기에는 작은 반점이나 대형병반은 도열병과 혼동하기 쉬움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하천부지의 사질 또는 중산간지의 경토가 얕은 노후답과 추락답에서 다발

벼의 초기 생육이 왕성한 재배지에서 발병이 조장

출수 및 개화기 고온과 밤의 저온에서 발병이 조장됨

 

4. 방제방법

객토, 퇴구비, 가리, 규산 등의 시용으로 토양을 개량하여 비료성분의 보비력을 높여줌

생육 후기 벼의 생육이 쇠퇴하지 않도록 비료를 여러번 나누어 시용

발병 초기 적용약제 살포 및 발생 상습지는 약제 살포 7~10일 후 1회 추가 살포

요방제 수준 : 병무늬면적률 19.5%

적용약제 : 헬리건(3+), 명물(3+2), 벼천왕(2+2), 신호탄(3+3), 헤드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