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Alternaria altanata, Bipolaris oryzae, Cladosporium cladosporides, Curvularia lunata, Epicoccum purpurascens, Fusarium fujikuroi, Fusarium semitectum, Monographella albescens(=Gerlachia oryzae), Nigrospora oryzae, Pyricularia grisea, Trichoconis padwickii(=Alternaria padwickii) 등
2. 병징과 진단
◦ 벼의 등숙기에 벼 알에 반점을 형성하거나 쭉정이가 되어 피해를 주며, 이삭목의 오염, 벼 알의 변색, 이삭목의 고사 등 이삭이 마르는 현상을 총칭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일반적으로 늦게 이앙한 논에서 발생이 많으며, 질소, 칼리, 철, 망간 및 마그네슘이 결핍된 토양에서 발병되기 쉬움
◦ 특히 출수기부터 등숙기까지의 기상과 관련이 깊어 이 시기에 비가 자주 오거나 고온다습할 경우 발병이 심하게 됨
4. 방제방법
◦ 병원균들은 벼 잎에서도 발병할 수 있으므로 생육기 중 포장의 관리가 중요
◦ 이삭도열병과 비슷한 시기에 발병하므로 동시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삭패기 직전부터 수전기에 적용약제로 7일 간격으로 1~2회 방제함
※ 규산질 비료를 출수기 전후하여 10a당 200kg 살포 시 59% 방제(‘08. 충남)
☞ 적용약제 : 후치왕(바2), 디모스(나1), 논브라(타+자1), 논카바(타+차3), 아리킬트(다3+사1), 아리지오판(나1)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