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잎벌레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벼잎벌레

영문명 : Rice leaf beetle

식물명 : 벼

1. 학명 : Oulema oryzae

 

2. 피해와 진단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갉아먹으며, 성충보다 유충의 섭식량이 많음

잎 끝에서 아래로 갉아먹고 표피만 남기므로 평행하는 백색선상의 상처가 나타남

피해 잎은 잎 끝부터 갈라지고, 갈색으로 변하여 고사되기도 함

 

3. 형 태

성충은 청남색 바탕에 가슴 부분은 황갈색을 띠고 수컷은 4.2mm 내외, 암컷은 4.8mm 내외

다 자란 유충은 4.7mm 내외의 방추형으로 등에 배설물을 얹고 다니므로 마치 작은 흙덩어리처럼 보임

 

4. 생 태

1년에 1회 발생하며, 중북부 및 남부 산간고냉지대에 주로 발생하는 지역적 해충

논 부근의 숲이나 잡초 사이에서 성충으로 월동하고 이듬해 5~6월 못자리나 본논 초기에 성충이 날아와 잎 끝에 10개 내외씩 총 100~200개 산란

알기간은 8~10, 유충은 10~20일간 3회 탈피한 한 후 잎 위에 타원형 고치를 만들고 용화하여 10여일 후 우화함

성충은 교미나 산란을 하지 않고 7월 하순~8월 상순에 월동처로 이동

 

5. 방제방법

못자리 말기나 본논 초기인 5~6월에 유충이 알에서 깨어나는 시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하되 주발생지인 산간부에서는 모도열병과 동시 방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단 한 번의 약제 처리만으로도 충분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