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Laodelphax striatellus
2. 피해와 진단
◦ 못자리부터 벼의 생육기간 동안 벼의 양분을 직접 흡즙 가해하나 큰 피해를 주지 않으며, 출수기에 이삭을 흡즙하여 임실율을 떨어뜨리고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피해
◦ 바이러스병인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피해
3. 형 태
◦ 성충은 장시형 암컷 4mm, 수컷 3.5mm, 단시형 암컷 2.5mm, 수컷 2.3mm
◦ 암컷은 전체적으로 담황색을 지니고 있고 소순판은 흰등멸구와 비슷하지만 다소 불분명한 무늬를 지니고 있으며, 수컷은 암컷과 달리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지니고 있고 소순판 또한 완전히 검음
◦ 약충은 유백색~암갈색으로 몸 양쪽이 중앙보다 검음
4. 생 태
◦ 논둑이나 밭둑, 제방둑에서 3~4령 약충으로 월동, 1년에 5회 발생
◦ 3월 하순부터 보리밭으로 이동 1세대를 경과하고 5월 중순경 2회 성충이 묘판이나 본답으로 이동, 3회 성충 최성기는 7월 상~하순, 4회는 8월 중순, 5회는 9월 하순
◦ 애멸구 발생시기 예측은 일평균기온에서 발육영점온도 9.37℃를 뺀 다음 적산
※ 월동성충 최초 이동은 67℃, 1세대 성충 최초 이동은 389.3℃되는 날
◦ 알은 엽초 내 5~6개씩 낳고 암컷 한 마리가 200~300개 산란, 성충수명은 20~25일, 약충 18~20일, 알기간 7~8일
5. 방제방법
◦ 지역별 적기이앙(5월 하순~6월 상순) 및 이앙당일 상자 처리
◦ 상자처리를 하지 않았거나 발생이 심한 지역은 이앙 후 10~15일경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등과 동시방제 하거나 발생초기 적용약제 살포(무인항공)
※ 피해허용 밀도 : 유묘기 주당 2마리, 분얼기 주당 12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