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밤나방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벼밤나방

영문명 : Purplish stem borer

식물명 : 벼

1. 학명 : Sesamia inferens

 

2. 피해와 진단

이화명나방과 가해상태 및 피해 양상이 비슷하며, 1화기 유충은 엽초를 가해하여 피해를 받은 줄기는 갈색으로 변색됨

2화기에 피해를 받으면 백수현상이 나타나는데, 침입한 구멍을 통해 배설물을 밖으로 내면서 가해하는 경우가 많아 이화명나방의 피해와 구별되며, 논 가장자리에 많이 발생함

 

3. 형 태

성충은 암컷이 13mm, 수컷은 12mm, 날개편 길이 암컷은 26mm, 수컷은 24mm 정도로 몸은 담갈색을 띤 흰색으로 비교적 통통함

다 자란 유충은 길이 30mm 정도로 머리는 홍갈색이고 몸은 담황백색이며, 복부 등면은 적자색을 띰

 

4. 생 태

2~3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충으로 벼의 그루터기나 볏짚 속에서 월동

4월 하순부터 번데기가 되고 5월 중순부터 성충이 출현하며, 성충의 수명은 5~8, 교미 후 2~3일부터 엽초 안쪽에 30~60개로 이루어진 무더기 4~5개를 산람함

1화기는 5~6월 중순, 2화기는 7월 중순~8월 상순, 3화기는 8월 중순~9상순

 

5. 방제방법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이화명나방에 준하여 방제(무인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