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극락꼬마밤나방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극락꼬마밤나방

영문명 : Protodeltote atricolor

식물명 : 벼

1. 학명 : Protodeltote distinguenda

 

2. 피해와 진단

어린 유충은 다수가 군집하면서 표피만 남기고 섭식하여 백색 세로선 형태로 반점이 남으며, 성장하면서 분산하여 섭식함

유충이 극히 폭식성으로 벼애나방의 가해습성과 비숫하여 피해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움

 

3. 형 태

성충은 길이 9~11mm, 날개편 길이 22~26mm로 앞날개는 흑갈색이고 고리무늬, 칼무늬 콩팥무늬는 회백색으로 가는 검은색 테두리로 둘려 있으며, 뒷날개는 암갈색임

충은 다 자라면 40mm 정도로 담갈색 머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연한 황갈색이지만 노숙하면서 다소 붉은 색을 띠고 기문선은 연한 황색이며, 첫 번째 배다리는 없고 두 번째 배다리도 퇴화되어 자벌레처럼 돌아다님

 

4. 생 태

성충은 5월 하순~6월 상순부터 유아등에 유인되기 시작하여 8월말까지 유인됨

6월 하순~7월 상순에 유충의 피해가 어린 벼에 많이 나타나고 2세대 유충 피해는 7월에 나타남

7월 하순에 2회 성충이 발생하고 3회 성충은 8월 하순~9월 상순에 발생하며, 9월 하순부터는 대부분 벼의 마른 잎 사이에 만들어진 엉성한 고치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에 들어감

잎 끝에서 20cm 정도 되는 곳에 벼 잎을 붙여서 접고 그 사이에 1~2열로 10개 정도씩 산란하고 약 10일을 후 부화한 유충은 벼 잎을 먹으면서 성장하며 다 자라면 물가의 벼 줄기 사이에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되고 약 10 후 우화함

 

5. 방제방법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유충이 많이 발생한 시기에 이화명나방 전용약제로 방제(무인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