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먹노린재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먹노린재

영문명 : Black rice bug

식물명 : 벼

1. 학명 : Scotinophara lurida

 

2. 피해와 진단

흡즙 부위는 색이 퇴색하고 흡즙부위에서 자란 잎은 중간이 말라 윗부분이 말라 죽음

벼 포기 아래 부위에서 줄기를 흡즙하고 여러 마리가 동시에 가해하면 엽초가 변색되고 윗부분이 말라 죽어 이화명나방 피해와 유사

피해를 많이 받으면 초장이나 분얼 억제

벼줄기와 벼알을 흡즙하여 백수현상과 수량감소, 반점미 유발

 

3. 형 태

성충은 8~10mm로 몸색은 흑색이나 때로는 약간 암갈색을 띄는 경우도 있으며, 앞가슴 등판 앞 가장자리의 양 끝에 옆쪽으로 난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음

다자란 약충은 7~8mm 내외로 적갈색~회갈색을 띰

 

4. 생 태

1세대 발생하며 성충으로 낙엽 속이나 잡초 밑에서 월동

월동성충은 6월 상 중순부터 본답으로 이동하고 7월 상순에 가장 많고 약충은 7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8월 하순에 최성기

새로 나온 성충은 8월 중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9월 상순에 최성기

산란수는 30, 알기간 4.3, 약충기간 46

 

5. 방제방법

노령 약충이나 성충은 약제 저항성이 강하여 방제가 어려우므로 어린 약충기가 방제적기

월동성충 이동 최성기인 6월 하순과 7월 상순에 적용약제 살포(무인항공)

요방제 밀도 : 분얼최성기(6월 하순) 50주당 1마리, 유수분화기(7월 중순) 8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