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 증상
◦ 출아가 완료된 때에 유아장이 짧으면 불완전엽과 제1본엽에, 유아장이 길면 제2엽에 엽록소가 형성되지 않고 백색 상태로 있는 것을 말함
※ 백화묘를 본답에 이앙할 경우 초기 생육 및 신근 발달이 떨어지나 그 후에 엽신이 정상 출엽을 하면서 점차 생육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나 백화율이 80%인 경우 만석벼는 20%, 추청벼는 27%가 고사하므로 백화 정도가 심한 묘는 이앙을 피해야 함
2. 원 인
◦ 출아기에 온도가 35℃ 이상이면 백화엽 발생이 많아지며, 출아 일수가 연장되어 출아장이 6.5cm가 되면 자연광에서 1일 녹화 할 때 80%, 2일 녹화 할 때는 75%의 백화묘가 발생함
◦ 녹화기에 온도가 20℃ 이하로 낮고 2만 Lux 이상의 급격한 강광이 7~8시간 계속되면 백화묘가 발생함
※ 출아기의 온도가 35℃인 경우 녹화기의 온도와 광 조건의 관계는 10℃에서는 5천 Lux, 20℃에서는 2만 Lux, 30℃에서는 5만 Lux 임
◦ 엽령 0.3~0.4엽, 초장 1~2cm 이상에서 녹화 처리를 하면 백화묘 발생 가능성이 높음
3. 대책 및 예방
◦ 출아기의 온도가 높으면 백화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출아까지는 30~32℃로 유지하고 출아 후 묘의 도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25~30℃로 육묘 관리함
◦ 출아기에 암흑조건으로 하여도 백화묘 발생 원인이 되므로 출아기 후반에는 두터운 거적 등을 제거하고 될 수 있는 한 약광을 쪼이게 하며, 초장은 1cm 내외가 되게 함
◦ 녹화 초기 0.5~1일 정도 차광처리(조도 1천~3천 Lux)로 백화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부득이 녹화 개시기에 강광으로 저온 상태일 경우에는 광에 쪼이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필요함